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은 글로벌 IT기업 중 최하위권
신기후연구소 연구보고서, 글로벌 IT 기업과 패션 기업 10곳 평가
REC에 의존한 삼성전자의 전략은 실질적 재생에너지 확대 효과 적어
정부의 부족한 지원도 기업의 탈탄소화 추구에 걸림돌
“신(新)환경경영전략”을 내세운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전력 전략이 구글은 물론, TSMC에도 뒤처져 있다는 해외 연구기관 보고서가 나왔다. 16일 독일 비영리단체 ‘신기후연구소(NewClimate Institute, 이하 NCI)’가 공개한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력 조달 방식 비교(Navigating the nuances of corporate renewable electricity procurement: SPOTLIGHT ON FASHION AND TECH)”라는 제목의 보고서다. 보고서는 “글로벌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전력 확대 전략을 분석한 결과, 실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기업이 주장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기업의 기후 행동을 분석하는 “기업 기후 책임 모니터(Corporate Climate Responsibility Monitor)” 특별판이다. 패션 및 IT 분야 글로벌 기업 10곳의 재생에너지 전력 조달 전략을 평가했다. IT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구글·애플·마이크로소프트·TSMC가 포함됐다. 평가는 ‘기업의 자체 운영을 위한 전략’과 ‘공급망(supply chain)을 위한 전략’ 두 부분에 걸쳐, 관련 자료 공개 여부·현재와 미래 시점 조달 목표 및 방법·정책 제도 변화를 촉구하기 위한 활동 등을 살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자체 운영을 위한 전략 부분에서 투명성은 중간 등급에 해당하는 “보통(Moderate)”을 이행 적합성(integrity)은 최하 등급인 “제한적(Limited)”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공급망 전략에서는 투명성과 이행정합성 모두 “피상적(Shallow)”이라는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하위 2등급에 해당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몇 년간 재생에너지 전력 조달 참여도를 높여왔지만, 그 전략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삼성전자가 2050년까지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 등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C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는 국제적 약속을 달성하기에는 미흡하다는 것이다. 반면 TSMC는 작년 9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비 OECD 회원국을 위한 전력 분야 탈탄소 벤치마크’에 따라 소비하는 전력 중 재생에너지 전력 비중을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100%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많은 기업들이 활용 중인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이하 REC)’의 한계를 꼬집었다. 예를 들어 (현 상황에선) 불가리아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이 노르웨이에서 만들어진 REC를 구입해 “불가리아에서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는 이미 전력 대부분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하고 있는 노르웨이나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요한 불가리아에 아무런 긍정적 효과를 주지 못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더 나은 조달 방식이 있는 지역에서도 REC 구매 방식을 고수하고 연간 단위로 탄소배출량을 계산하는 삼성전자의 방식은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추가성을 가져오는 전력 구매 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이나 실시간 전력 수요의 100%를 무탄소 전력으로 수급하는 ‘24/7 전략’으로 전환한 기업보다 탄소배출량을 의미 있게 줄일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경쟁사인 TSMC 역시 해외 지사 등에서 REC 구매를 활용한다. 하지만 TSMC는 2020년 해상 풍력 개발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PPA를 체결하는 등 2022년까지 총 발전용량 2.9GW 규모의 PPA를 체결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PPA 체결에 비용이 많이 들고 관료적인 절차가 복잡한 대만에서도 TSMC가 PPA 같은 보다 우수한 형태의 조달을 시작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이번 보고서의 저자로 참여한 토마스 데이(Thomas Day) NCI 기후정책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전력 조달 방식은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삼성은 대만에서 공급업체들과 함께 PPA를 진행하는 TSMC의 사례를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틀 마련을 위한 삼성전자의 적극적 참여를 주문하며,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틀은 기업이 탈탄소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엔 부족하다고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임재민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은 “정부가 해상풍력법안 및 영농형태양광법안 등으로 좁은 국토에서 효율적으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한편, 금융 지원과 R&D 지원 등으로 관련 산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 “자체 운영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력 전략이 합리적인 수준의 이행정합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은 기업은 구글이 유일했다. 하지만 공급망을 위한 전략은 대부분 미흡하다고 평가받았다. ‘공급업체 청정 에너지 프로그램(Supplier Clean Energy Program)’을 운영하는 애플만 “보통”이었고, 다른 기업은 모두 “피상적”이거나 “제한적”이었다.
<끝>